태풍 어떻게 만들어질까? 태풍 형성 과정 대비 방법 기상청 초단기예측 :: 레드판다의 귀여운 초대

목차


    반응형

    이번 포스팅에서는 태풍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, 태풍 형성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 대비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그리고 유용한 기상청 사이트도 함께 소개합니다.
     

     

    태풍 형성 과정

     
    1. 따뜻한 해수:
    태풍은 지역에 따라 허리케인이나 사이클론으로도 불리며, 일반적으로 26.5도 섭씨 (80도 화씨) 이상의 따뜻한 해수 위에서 형성됩니다. 따뜻한 물은 태풍의 발달에 필요한 열과 수분을 제공합니다.
     
    2. 대기 조건:
    따뜻한 해수가 그 위의 공기를 가열함에 따라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합니다. 이로써 표면에 저압 지역이 생성됩니다. 높은 대기 압력을 가진 주변 지역의 바람이 이 낮은 압력 지역을 채우기 위해 흘러들어갑니다. 지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고리올리스 효과에 의해 이 바람들은 회전을 시작합니다.
     
    3. 교란의 형성:
    이러한 조건이 지속되고 강화된다면, 따뜻한 물 위에 뇌우 군집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.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공기가 냉각되고 응축되며, 대기에 잠재 열이 방출됩니다. 이 잠재 열 방출은 뇌우의 발달을 더욱 지원합니다.
     
    4. 열대 저압:
    뇌우 군집이 조직화되고 회전의 징후를 보이면, 열대 저압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. 이 단계에서는 지속되는 바람 속도가 비교적 낮지만, 폭풍 체계가 더욱 구조화되기 시작합니다.
     
    5. 열대 폭풍:
    뇌우 군집이 강화되며 바람 속도가 특정 임계값(보통 39마일/시간 또는 63킬로미터/시간 주변)에 도달하면 열대 폭풍으로 승급됩니다. 이 단계에서 폭풍에 이름이 지정됩니다.
     
    6. 태풍의 눈의 형성:
    열대 폭풍이 따뜻한 해수 위에서 에너지를 계속 얻어오면서 중심 부분이 조금씩 확대되어 "눈"이 형성됩니다. 태풍의 눈은 상대적으로 차분하고 맑은 지역으로, 그 주위에는 가장 세차고 강한 바람과 많은 강우가 있는 눈벽이 형성됩니다.
     
    7. 태풍으로 강화:
    대기 및 해양 조건이 적합한 경우, 폭풍은 바람 속도가 증가하는 등 강화될 수 있습니다. 평균 바람 속도가 약 119킬로미터/시간 (74마일/시간)에 도달하면 이 폭풍은 태풍(지역에 따라 허리케인 또는 사이클론)으로 분류됩니다.
     
    8. 성숙한 태풍:
    성숙한 태풍은 명확한 눈, 강한 뇌우가 있는 주변의 눈벽, 그리고 밖으로 향하는 나선형 비구름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 폭풍 체계는 지름 수백 마일에 이를 수 있으며, 강한 강우, 강풍, 해일을 일으킬 수 있으며, 상륙 시 토네이도까지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.
     
    9. 소멸:
    태풍은 더 차가운 해수 위로 이동하거나 덜 적합한 대기 조건을 만날 때 약화될 수 있습니다. 또한 상륙하거나 육지로 이동할 때는 열과 수분 공급원에서 차단되어 힘을 잃을 수 있습니다. 결국 태풍은 소멸되어 후열대 사이클론으로 전환됩니다.
     
    요약하면, 태풍은 따뜻한 해수 위에서 형성되며 열과 수분을 연료로 하여 크고 조직화된 폭풍 체계입니다. 그들의 형성과 강화는 대기 및 해양 조건의 조합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, 상륙 시 해안 지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태풍 대비 방법

     
    날씨 정보 확인:
    태풍의 도래 여부와 예상 경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세요. 지역 기상청이나 관련 기관의 정보를 참고하거나,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를 통해 최신 정보를 받아보세요.
     
    대피 계획 수립:
    가능한 대피 경로와 대피 장소를 미리 계획하세요. 가족 구성원과 함께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논의하고 훈련하세요.
     
    비상품 준비:
    필요한 비상품을 준비하세요. 음식, 물, 의약품, 전화, 라디오, 전지, 등 여러 가지를 포함해야 합니다.
     
    가구와 물건 고정:
    태풍으로 인한 강풍에 대비하여 집 안의 무거운 가구나 물건을 고정시켜 놓으세요. 또한 창문을 보호하고 미리 창문 테이프를 붙여 강풍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.
     
    난방 및 가스 차단:
    난방 시스템과 가스 라인을 끄세요. 대피하기 전에 누설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세요.
     
    차량 안전:
    차를 가능한 고지대에 주차하거나 태풍 경로에 놓인 건물 안에 주차하세요. 강풍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세요.
     
    긴급 연락처 목록:
    가족, 친구, 이웃, 지역 비상 연락처 등의 목록을 작성하세요.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연락할 수 있는 사람들의 연락처를 미리 알아두세요.
     
    안전 정보 홍보:
    주변 사람들에게 태풍 대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세요. 협력과 지원이 필요할 때 서로 도울 수 있습니다.
     
    응급상황 대비:
    의료 기록, 중요한 문서, 보험 정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세요. 대피 시에도 이러한 정보를 손쉽게 가져갈 수 있어야 합니다.
     
    대피 주의사항:
    대피할 때는 안전한 경로를 따르고, 난폭한 바람과 강우에 주의하세요. 가능한 높은 곳으로 이동하거나, 튼튼한 건물 내에서 안전한 장소를 찾으세요. 지역의 지자체, 기상청 및 관련 기관이 제공하는 안전 정보를 따르고 대비할 때 신속하고 안전한 행동을 취하세요.
     

    반응형

     

    기상청 사이트 소개

     
    아래에 있는 기상청의 초단기예측 사이트에서 앞으로 약 5시간 동안 바람이 어디에 어떤 세기로 부는지, 또는 비가 얼마나 어디에 내리는지 등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잠깐 외출할 때도 아주 유용합니다.
     
    https://www.kma.go.kr/w/image/vshrt/wind.do

     

    초단기예측 - 바람 - 기상청 날씨누리

   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,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,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, 일출/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

    www.kma.go.kr

    https://www.kma.go.kr/w/image/vshrt/rain.do

     

    초단기예측 - 강수 - 기상청 날씨누리

   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,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,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, 일출/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

    www.kma.go.kr

     
     
    6호 태풍 카눈이 내일 한반도를 관통할 예정이라고 하니 철저한 대비로 안녕하시기를 바랍니다.

     

    아래 글에서 모기 쫓는 방법과 에어컨 제작 과정을 알아보세요.

    <모기 멸종 프로젝트>

    <에어컨 제작 과정>


    + Recent posts